본문 바로가기
자료보관함/뉴스잇슈

조국 스토커 - 이제 SNS 취재는 대세가 된건가?

글: 꼰보라 2023. 2. 9.
반응형

스토커라함을 다음백과사전에서 가져왔다.

 

 
상대가 아무리 싫어해도 상관하지 않고 자신의 편집광적인 망상을 부풀려 어디든지 따라다니며 기다리거나 전화를 걸어대며 끈질기게 쫓아다니는 사람. '살며시 다가온다', '뒤를 밟는다'라는 뜻의 영어 '스토크'(stalk)에서 온 말이다. 미국에서는 오래 전부터 문제가 되고 있으며, 일본에서도 스토커에 의한 범죄가 증가하여 살인 사건까지 일어난 것으로 전해진다. 한국에서도 1990년대부터 스토커 문제가 불거지기 시작했는데 주로 연예인들이 그 대상이 되고 있다. - 다음백과 사전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rts02s119

 

기사를 많이 써야, 특히나 자극적인 기사를 많이 써야 클릭을 높게 받고 돈이 생기는 그들은 결국 어뷰징을 할 뿐이다. 

그래서 연예인들 인스타 페북 뒤지고 기사들을 양산한다. 드라마 줄거리를 마치 실생활인 것처럼 제목 뽑은 건 이제 신기하지도 않다. 누군가 한 말에서 맥락을 다 빼고 따옴표만 붙여서 기사를 내기도 하고. 정작 본인은 그런 의미가 아니었다고 해명하는 진풍경이 펼쳐진다. 어차피 클릭이다. 끝나면 아무것도 아닌.

 

오늘 뉴스를 보자마자 가장 먼저 클릭한 기사. - 아, 나도 그 술수에 놀아나 버렸다.

 

내용은 조국 SNS커버 사진이 바뀌었다는 거다. 기도해 달라. 뭘? 내용은 튀르키에 지진을 애도하는 거다. 하지만 맥락을 알아보지 못하게 글을 썼다. 선임기자면 기자들의 대빵아닌가? 인턴기자도 아니고. 아무튼, 문통에게 책 추천을 받은 날.. (그 책이 뭔지 모르겠다만) 커버 사진을 교체했다는 건 둘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다는 건데. 기도해 달라는 그 다음 말을 붙였다는 건 세 사건이 하나로 이어진다는 거다. 

 

그런데 정말 난데없는 사실들만 이어졌을 뿐. 이걸 기사라고 이해해야 하나?

 

페이스북 커버를 바꾸는 것도 나름의 메시지가 있다고는 생각한다. 그 메시지는 결국 해석하는 사람 마음일텐데 '편집광적인 망상'을 부풀어 오르게 하는 내용들로 메꾸어졌다면 저 기사는 스토커 기사에 지나지 않는다. 단순히 튀르키에 지진을 애도한 것 아닌가? 시기가 공교롭다고? 언제 했어도 아마 그렇게 이야기할 거다. 

 

의혹을 제기하고 책임지지 않는 것이 기자의 본질인지는 잘 모르겠다. 

 

저 커버 바꾼 걸로는 기사가 안되는지, 뒷 부분은 조국의 책을 문통이 추천한 걸 가지고 시비거는 국힘 수석대변인의 성명으로 끝을 맺는다. 그렇다면 본인이 쓰고 싶은 내용은 결국 조국의 책. 뉴스1이라는 곳은 정식 언론사는 아닌거지?  그냥 디지털뉴스 센터인가보지? 언론사 선택을 잘 해야 하는데.. 나도 모르게 클릭을.. 호기심을 탓해야 하는 상황이네.

 

오늘의 교훈

 

인간의 본성은 쉽게 바뀌지 않는다.. 호기심을 완벽히 이용하는 기자들. 역시 대단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