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임진지/주식

딥시크와 중국, 그리고 미국 (feat 인구가 최고)

글: 꼰보라 2025. 2. 1.
반응형

 

하루 종일 딥시크. 아니 설날 연휴 내내 딥시크였다.

엔비디아도 급락하고 (갭하락 후 횡보 중이다만..) 테크주들 별로 안 좋고..

 

그래서 금요일 장이 나름 중요했는데 역시나. 하이닉스 엄청 빠졌다. 이게 기회가 될 수도 있는가?

 

 

그래도 양봉이네. 20일선에 걸친건가?

20만원이 저항선이 될 지 지지선이 될 지. 음.

 

딥시크가 생각보다 좋은 성능이라는 데에는 별 이견이 없는 모양이다.

그렇다면 저비용이다라는 부분에서 왈가왈부 하는 모양인데..

 

1. 투자비용을 축소로 공개했다.

2. 이미 발전된 기반 위에서 만들었기에 초기비용 절감때문이다

3. 중국은 개인정보 보호 안하기에 데이터라벨링 비용이 절약된다.

 

뭐 이 정도인가?

어찌보면 모든 게 같은 맥락인듯 싶다. 

 

중국이라서 가능한 일이다!

 

이 중 개인정보에 관한 논란은 좀 크게 느껴진다.

모든 정보를 딥시크는 수집한다고 하고, 이걸 처음 회원가입할 때 모두 동의한다고 하니.. 나도 모르게 내 정보를 털린 거겠지. 그래서 그런지 이걸 더 이상 쓰면 안된다고, 쓰지 말라고 하는 국가들도 나오는 듯 하다.

 

 

어찌보면 틱톡 논란하고도 비슷하다.

뭐 자기들에게 유리하면 놔두고, 불리하면 '안보이슈'가 나온다. 

중국을 옹호하고 싶은 마음은 추호도 없으나 미국의 행태가 쫌스럽기도 마찬가지.

자기네 제품, 자기네 것이 최고라고 말하는 꼴인데.. 모든 테크가 다 지들 나라에서 진행되어야 하는 건 아니지 않는가?

 

하지만 딥시크 난 가입하지 않았다.

중국 것 쓰기는 아무래도 애매하니깐. 

 

인권을 무시하는 나라에서 오히려 기술 발전이 빨리 된다는 게 참 아이러니컬 하긴 하다.

14억이라는 인구의 쪽 수는 결국 무시하지 못하는 건가..

 

저 통계표보다 중국인이 더 많다고는 알고 있다만. (예전에 출산제한 정책때문에 등록하지 않고 살아가는 사람들이 많다고 들었다.) 그래도 인도에게 1위를 빼앗겼군.

 

인도와 파키스탄 합치면 중국은 가뿐히 제끼겠다.

인도네시아도 꽤 많네.. 방글라데시도. 와우.

의외로 동남아에 사람들 많이 사는 구만. 

우리 나라 인구는 영.. 북한이랑 합쳐도 태국만큼 가려는지 모르겠다.

인구가 많아야 하는데 말이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