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꼰대질/꼰대가라사대

1 대 99의 싸움 - 홍준표가 왜 경찰과 싸우는가?

글: 꼰보라 2023. 6. 17.
반응형

아. 이건 아니라고 생각한다.

 

 

이런 식으로 권익을 따지면, 언제나 다수의 권익을 지키기 위해 소수의 권익이 희생되도 된다는 말이다.

언제부터 우리는 다수의 이야기만 듣는건가? 언제부터 소수자의 이야기는 혐오스러워 하는 건가?

 

대구에서 퀴어집회가 맘에 안 드는 점은 있다.

그건 뭐 광화문에서 하는 집회도 마음에 안 드는 거고.

예전에 했던 촛불집회도 도로까지 점용한 불법(?) 집회였던 거고..

 

실은 불법이냐 아니냐는 잘 모르겠다.

경찰에서 불법이 아니라고 이야기를 하니 아닐거라고 생각한다.

홍준표는 도로 점용이 불법이라는데.. 법원이 도로 점용을 허가한거는 아니라고 하는데..

실은 적법한 집회면 그 인원 수에 따라서 도로를 일부 점용할 수 있는 거고..

 

홍준표가 대통령이 된다면, 저런 집회를 옹호한(?) - 내가 보기엔 합법집회를 그냥 경찰의 직무에 따라 한 것 뿐인 듯 한데.. (공무원도 그렇겠지..) - 경찰청장을 짤라낸다고 하는데 그게 맞나 싶기도 하다.

 

물론 그게 권한이긴 하지만.

 

아무튼 그 정의라는 걸 99%의 대다수로만 보는게 얼마나 위험한지.. 1%를 위해 실은 99%가 배려해 줄 수도 있는 문제가 아닌지. 시위라고 하는 것들은 어쩌면 소수가 대다수를 향한 외침일텐데, 그것을 쉽게 '다수의 불이익' 운운하면서 이야기하는 건 좀 불편하다.

 

아마도 전장연 시위나 민주노총의 시위로 인해 부정적인 이미지가 가득한 시위이지만,

전광훈 집회도 결국 시위기 때문에 보장해 주는 거 아닌지.

 

불법이기 때문에 그걸 제한해야 한다는 의견은 찬성하지만,

대다수의 평화를 위해 제한이 당연하다는 의견에는 반대한다.

 

그리고 그런 생각을 이렇게 쉽게 내 세우는 사람이 있다는 거에 놀랍기도 하다.

결국 51%의 지지만 있어도 대통령이 되는 세상이니 소수의 문제는 관심없는게 당연한가???

 

음. 나도 언제까지나 다수로 지내고 싶다만..

늙을 수도 있고, 다쳐서 장애인이 될 수도 있고.. 그게 어디 내 맘대로 되던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