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투덜거림은 투덜거림으로 끝나야 한다.
왜 가격이 오르는가? 수요와 공급의 법칙이지. 많이 필요로 하는데 공급은 딸리니 어쩔 수 없는 거지. 그렇다고 정부에서 민간이 하는 일을 독점할 수도 없고 시기적으로도 어렵고. 미리미리 준비해야 한다는 말은.. 참 말이 쉽지. 손이 가는 곳이 어디 한 두군데 일지. 이러면 이런다고 난리 저러면 저런다고 난리.
반응형
제일 어이없는 상황은 6000원이라고 투덜대는 거다. 실은 보건소가면 공짜로 할 수 있다. 기다리는 시간이 많이 들어서 그렇지. 조만간 초중고 진단키트 준다고 하니 그 때도 많이 풀릴거다. 이걸 왜 사재기를 하는지 모르겠지만 굳이 사둬야 할까? 일상생활에서 쓰는 것도 아니고. 결국 지금의 가수요를 줄이는 게 더 중요한 문제 아닌가?
예전에 마스크 1500원 할 때도 말 많았다. 5000원까지도 올라갔던 그 마스크 1500원하면서 가수요가 떨어지고 공급이 따라오자 물건값은 계속 떨어졌고, 그 때 증설하고 기계 들여왔던 공장들 중 망한 곳도 꽤 많다. 이 때도 난리였지. 하지만 기다리면 결국 원래대로 돌아가더라.
말도 안되는 소리까지 옮겨적으면서
여론이라고 이야기하는게 온당할까?
언론들은 여론이라는 핑계로 어그로는 끄는 듯. 뭐 6000원이라는 가격이 기존에 팔았던 4000원대보다는 높지만 40000원대보다는 낮잖아. 그렇게 생각하면 무조건 싸게 팔라는 말이, 말인지 방구인지!
반응형
'자료보관함 > 뉴스잇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보름이 배성재 캐스터에 사과를 요구했다고? (0) | 2022.02.19 |
---|---|
안치환과 마이클 잭슨을 닮은 여인. 그리고 위반건축물 (0) | 2022.02.16 |
명지대 폐교하면 연세대? 용인대? (0) | 2022.02.14 |
이준석. 정치를 바꾸라고 그 자리에 올려준거지 조롱하라고 힘을 준게 아니다. (0) | 2022.02.13 |
진실 왜곡기사 하나면 언론사가 파산해야지 그럼 몇 개를 쌓아야 하냐? (0) | 2022.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