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선거4 선거에 관한 다양한 논란들 (부정선거, 노무현때도.. 김어준도 좀 반성하자) 역사적으로 부정선거가 없는가? 있다. 여러 나라에서. 뭐 우리나라에서도 있었지. 아래 사례는 부정선거라고 보기에는 좀 그러한 것도 있고.. 진짜인 것도 있고.아무튼 논란이 있던 것들 몇 개 들어보련다. 1. 미국 - 1876년 대통령 선거사건 개요: 1876년 미국 대통령 선거는 공화당의 러더퍼드 B. 헤이스와 민주당의 새뮤얼 J. 틸던 사이에서 치열한 경쟁이 벌어졌습니다. 선거 결과는 플로리다, 루이지애나, 사우스캐롤라이나 주에서 논란이 되었으며, 이들 주의 선거인단 표를 놓고 양당이 치열하게 다툼.결과: 결국 양당은 타협안(1877년 타협)을 통해 헤이스가 대통령에 당선되었지만, 이 과정에서 남부의 재건 시대가 종식되고, 흑인의 권리 보호가 후퇴하는 결과를 초래. 2. 벨라루스 - 2020년 대통령 .. 2025. 2. 3. (2.13~14 조사) 경기 수원갑, 서울 종로 여론조사 여론조사는 늘 이슈가 있는 곳만 하지. 1. 경기 수원갑 수원은 갑을병정무가 다 경합이라며? 여기는 대뜸 가상대결을 한다. 후보들이 결정된건가? 아, 국힘 후보 적합도가 그 다음에 있었네. 현재 민주당 김승원이 현역후보이다. 이전에는 이찬열이 19대, 20대 의원이었지. 이찬열은 3선의원인데 손학규가 민주당 탈당하자 같이 탈당하고 국민의당에 입당했다. 그 이후 자유한국당으로 복귀. 뭐 원래가 한나라당 사람이라서. 아무튼 21대에서는 컷오프되었고, 22대에는 공천 신청은 한 듯 보인다. 뭐 59년생이니 정계은퇴하기에는 좀 이르지 않나? 지난 21대 선거결과는 이렇다. 그래도 지난 번 나왔던 이창성 후보가 좀 더 우세인 듯. 하지만 가상대결은 오차범위 밖에 있는 듯 하다. 그런데, 김현준이 단수공천이 되었네.. 2024. 2. 17. 여론조사 참고 사이트 -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올리서치 블로그에 쓰는 대부분의 여론조사는 여기를 참고한다. 1.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https://www.nesdc.go.kr/portal/bbs/B0000005/list.do?menuNo=200467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www.nesdc.go.kr 공식적인 여론조사를 할 때 반드시 등록해야 하는 곳이다. 다만 질문지 등록시점, 결과지 등록 시점이 시차를 두고 이뤄지기 때문에 언론에 소개되고 나서 바로 찾아보면 텅텅일 경우가 많다. 그래서 며칠 시간간격을 두길 권한다. 그냥 헤드라인만 보면 좀 의심스러운(?) 결과도 내용을 살펴보면 이해가 간다. 질문지에 수식어라든지, 문항 배열이라던지 뭐 여러가지의 경우의 수가 미묘한 변화를 일으킬 수 있지. 다만, 너무 의심스러운 눈으로 보려고 노력하지는 않는다... 2024. 2. 8. 21대 총선 선거운동이 끝나간다. 이 글을 쓰는 시점에서 약 4시간 좀 넘게 남았다. 말도 많고 탈도 많은 선거. 어쨌든 민주주의를 통해 우리의 지도자를 뽑는 선거이니 중요하긴 하다. 문제는 내가 원하는 지도자들만 뽑히는게 아니라는거. 그런데 그 또한 민주주인걸 어쩌랴. 선거때면 늘 서로의 의견을 좁히지 못하고 날이 선 채 이야기를 끝맺곤 했다. 특히나 노무현 대통령때 그게 가장 심하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지금도 많긴 하지만 그게 자유로운 민주주의에서 자연스럽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무지 무질서해 보이기도하지만. 뭐 투덜대는 사람도 있고 맘에 안 드는 사람도 있는거지. 그게 사회인거지. 대구 경북은 여전하다고 떠드는 사람들 많던대, 실은 전라 광주도 여전한 건 마찬가지다. 변화라는 게 순식간에 될리가 없지. 서서히 바뀌는 거다. 물론 한 .. 2020. 4. 1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