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보관함/뉴스잇슈

금리가 오르면 상환액이 오르는 건 인지상정

꼰보라 2022. 6. 13. 10:15
반응형
금리가 오르면 상환액이 오른다.

그거야 당연한 것 아닌가?

시점별 금리와 아파트 가격으로 LTV 상한선까지 30년 만기 주택담보대출 실행할 경우..

LTV 상한선이 얼마더라? 그 상한선까지 땡겼다는 이야기지?

금액이 4억 정도 되려나? 거의 은행에 월세를 내는 수준이다.

하지만 아파트 가격이 올라가면 무주택자보다는 확실히 유리한 구조.

 

베팅해 말아?

 

금리가 올라가서 상환액이 올라가니까 금리를 올리지 말라 혹은 그게 우려된다는 식으로 기사를 썼던데. 

뭐, 그게 우리 맘대로 되는 것도 아니지 않는가?

물가가 올라가는 현재 금리를 올려야 하는 게 당연지사인데, 오른 물가를 어떻게 감당하려고 하는지..

자산 인플레는 용인해 주고, 물가는 잡아야 하는 (주택가격이 물가에 들어간다고 알고 있다만, 이건 미국인가?) 건 말도 안되는 일이고.. 아무튼.

 

 

소득수준 대비 아파트 금융비용이 가계에 과도한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저 이야기가 처음 나오는 것도 아니고.. 지금도 뭐 40년만기, 50년 만기 모기지론 이야기를 하지만 매달 금융비용을 조금 줄여줄 뿐 본질적으로 빚을 대신 갚아주는 건 아니다. 결국 가처분 소득이 올라야 하는데, 임금인상이 계속 될 수 있을지 회의적. 정부가 바뀌니 최저임금이 너무 높다고 하는 입장이더구만..

 

지금의 자산 가격은 결국 많은 거품들이 끼어 있는 것 아닌지.

금리가 올라야 거품이 깍이는 게 맞는게 아닌지.

물론 어느 방향으로 가더라도 부작용은 나올 수 밖에 없다..

 

이왕이면 그게 좀 견딜만 하게 왔으면 좋겠다만.. 에고..

반응형